민간외교(28)
-
우리 아이들에게 '놀이'를 허하라
아동기의 대전환 시대호모 루덴스Homo Ludens는 ‘놀이하는 인간’을 뜻한다. 인간의 중요한 ‘본질’이자 ‘욕구’가 ‘놀이’에 있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사람의 모든 토대를 형성해 가는 아동 · 청소년기에 놀이가 지니는 가치와 중요성을 살펴본다.‘놀이’를 ‘학습’하는 요즘 아이들술래잡기 고무줄놀이 말뚝박기 망까기 말타기 놀다 보면 하루는 너무나 짧아 아침에 눈 뜨면 마을 앞 공터에 모여 매일 만나는 그 친구들 비싸고 멋진 장난감 하나 없어도 하루 종일 재미있었어영화 ‘선생 김봉두’에 등장했던 ‘보물’이라는 노래 가사의 도입 부분이다. 40대 중반 이상의 성인이라면 이 노래 가사 내용과 같은 유년 시절의 경험이 누구나 있을 것이다. 학교를 마치자마자 냅다 가방을 던져 놓고 엄마가 동네 골목에서 “00야,..
2025.01.06 -
내 인생은 '하쿠나 마타타'
데일리투머로우 > PEOPLE > 피플 내 인생은 '하쿠나 마타타' 탄자니아 해외봉사 단원 최예은 영화 '라이온 킹'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하는 끝없이 펼쳐진 야생동물원 '세렝게티', 만년설로 하얗게 빛나는 산 '킬리만자로' 등으로 잘 알려진 탄자니아. 경이롭고 아름다운 자연 생태계도 좋지만, 이 나라 사람들이 매력적이어서 더욱더 좋다. 그들의 매력에 푹 빠져서 2년째 탄자니아에 머물고 있다는 최예은 씨, 자신의 앞날에 대해 '하쿠나 마타타'(문제없어)라고 말하는 그를 화상으로 만나본다반갑습니다. 탄자니아로 봉사를 간 이유가 있을 까요? 저는 인생의 절반을 미술을 하며 보냈어요. 그림을 그릴 때 행복을 느꼈고, 많은 대회에 나가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죠. 고등학교 입학 후에는 미술교육학..
2024.11.09 -
우리가 보는 것은 무엇일까?
우리가 보는 것은 무엇일까? 괴짜화가, 주세페 아르침볼도 '게슈탈트 전황Gestalt Swytch'이라는 말이 있다. 이미지나 형태의 변화가 없는데도 보는사람의 시각에 따라 같은 것이 다르게 보이는 것을 뜻한다. 원래 심리학에서 나온 용어를 회화의 세계에서 가장 잘 보여주는 사람이 바로 이탈리아 화가 주세페 아르침볼도이다.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재미를 일으키는 괴짜 화가를 소개한다.다음의 그림을 얼핏 보면 평범한 정물화처럼 보인다. 검은 그릇에 양파, 무, 당근, 마늘 등 갖가지 채소들이 가득 담겨 있다. 그런데 작품 제목이 '채소를 기르는 정원사'이다. '웬 정원사?'하며 아무리 들여다봐도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정원사가 기르는 채소라는 뜻일까?' 하며고개를 갸웃한 참에 더 옆으로 고..
2024.09.24 -
월드캠프 마이 다이어리
데일리투머로우 > SPECIAL ISSUE > 기획 /특집 월드캠프 마이 다이어리 매년 여름마다 부산에서 개최되는 IYF 월드캠프는 전 세계 대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여서, 글로벌 리더의 자질을 익히는 문화교류 프로그램이다. 캠프에 참가한 학생들이 서로 다른 문화에서 성장한 사람들과 어떻게 소통하고 교류하는지, 두 학생의 에세이를 통해 만나본다.한 빅토리아 알마티 경영대학교 Almaty Management University 4학년 생. 여러나라를 다니며 다양한사람들과 문화를 경험하며 사는 것이 꿈이다. 나는 카자흐스탄에서 고려인으로 살아왔다. 뿌리는 한국인지만 한국어가 서툴렀고, 한국문화에 익숙하지 않았다. 카자흐스탄에서 나는 '외국인'이었고, 한국을 내 고향이라고 말할수 없었다. 어디에도..
2024.08.27 -
어른이 되는 길
데일리투머로우 > opinion > 마인드 TALK! 어른이 되는 길 얼마 전, 미술관에 갔다. 매표소에 표시된 성인, 청소년, 어린이 입장료가 제각기 달 랐다. 나이에 따라 값을 다르게 받는다는 것은, 나이에 따라 작품 감상도 다르다고 전제를 한 것일까? 아니면 경제력이 없는 연령층에 대한 배려인가? 당연하게 여겼 던 기준이 갑자기 알쏭달쏭 해졌다. 문득, 나의 기억은 아이들과 놀이동산에 갔던 날 로 이어졌다. 어떻게든 놀이기구를 타보겠다면 키재기판 앞에서 까치발을들던 막내 아이의 진땀섞인 표정..... 미술관과 놀이동산은 어른과 아이를 나이로, 몸집으로 각각 구분한다. 그것은 아이 가 자라 어른이 된다는 성장의 논리를 바탕으로 한 말이다. 나이를 먹으면 키가자라 고 몸집이 커져 아이는 어른이 된다. ..
2024.04.21 -
진흙 속 진주를 찾는 기쁨으로 2
진흙 속 진주를 찾는 기쁨으로 2 앞서 말했던 드라마 속에서 의사는 이미 죽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계속하면 살 릴 수 있다고 절규했는데, 교육에서는 왜 쉽게 포기헤 버릴까? 결과가 어떻든 과정 속에서 끝까지 사명감을 갖고 계속 해 볼 오기마져 생기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회에서 마지막 외침이었습니다. 다음을 계속 이어 가겠습니다. 나를 구닥다리 교사라는 자괴감에 빠지게 만든 학생들 지난해에 필자는 특별한 졸업식을 치르게 되었는데,그 일화를 통해 이런 의문을 풀 어줄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당시 필자는 학교에서 교무부장을 담당하면서 담임 을 맡지 않고 3~6학년의 과학 교과만 전담하게 되었다. 전담교사의 경우, 학생들을 수업시간에만 만나니까 아무래도 마음 속 깊이 대화를 할 시간은 부족하다. ..
2024.04.09